반응형

 

국경일이나 특별한 기념일마다 우리는 태극기를 게양하며 나라의 의미와 가치를 되새깁니다. 하지만 막상 태극기를 달려고 하면 "어느 방향이 맞을까?", "아파트 베란다에서는 어떻게 달아야 할까?"와 같은 궁금증이 생기죠. 이번 글에서는 태극기 다는 법을 정확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태극기 다는 법 정확한 방법과 주의사항

태극기 게양의 기본 원칙

태극기를 게양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태극 문양의 방향입니다. 태극기의 파란색(건괘)이 왼쪽 위, 빨간색(리괘)이 오른쪽 위로 오도록 해야 올바른 게양입니다. 잘못 걸 경우 의미가 변질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태극기 다는 법 정확한 방법과 주의사항태극기 다는 법 정확한 방법과 주의사항

국경일 태극기 게양 시간

국경일에는 태극기를 아침 7시부터 해질 무렵까지 게양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다만 3·1절, 현충일, 광복절, 국군의 날, 제헌절, 개천절, 한글날 등 주요 국경일에는 전 국민이 동참해 태극기를 걸도록 권장되고 있습니다.

날짜 국경일 게양 방법
3월 1일 삼일절 조기(반기) 게양
6월 6일 현충일 조기(반기) 게양
8월 15일 광복절 정상 게양
10월 1일 국군의 날 정상 게양
10월 3일 개천절 정상 게양
10월 9일 한글날 정상 게양

 

태극기 다는 법 정확한 방법과 주의사항태극기 다는 법 정확한 방법과 주의사항

아파트와 주택에서 태극기 다는 법

아파트 : 대부분 베란다에 설치된 깃봉에 태극기를 꽂아 게양합니다. 깃발이 바람에 잘 펄럭일 수 있도록 충분히 밖으로 나와야 하며, 베란다 난간에 무심히 걸쳐두는 것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주택 : 대문 옆이나 건물 외벽에 깃봉을 설치해 달면 됩니다. 가능하다면 길에서 잘 보이는 위치에 게양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실내 : 행사를 위해 실내에 설치할 경우, 국기가 단독일 때는 중앙, 다른 깃발과 함께 있을 때는 가장 윗자리를 차지하게 배치합니다.

태극기 다는 법 정확한 방법과 주의사항태극기 다는 법 정확한 방법과 주의사항

조기(반기) 게양 규칙

국가 추모일이나 순국선열을 기리는 날에는 태극기를 조기(반기)로 게양합니다. 방법은 깃봉의 끝까지 태극기를 올린 뒤, 깃봉 길이의 3분의 1 지점까지 내려 고정하는 것입니다. 이는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에 대한 애도의 뜻을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태극기 관리와 보관법

태극기는 국기를 상징하는 만큼 훼손되거나 더럽혀져서는 안 됩니다. 사용 후에는 깨끗이 접어 보관하고, 찢어지거나 훼손된 태극기는 정해진 방법에 따라 소각 처리해야 합니다. 특히 장마철에는 습기에 젖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태극기 다는 법 정확한 방법과 주의사항

Q&A

Q1. 태극기를 밤에도 게양할 수 있나요?
A1. 원칙적으로는 해질 무렵까지만 게양합니다. 다만 조명을 설치해 밝게 비춘다면 밤에도 게양할 수 있습니다.

 

Q2. 태극기가 훼손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2. 임의로 버리지 말고 정해진 절차에 따라 태우거나 정부에서 지정한 수거처를 통해 폐기해야 합니다.

 

Q3. 태극기를 세탁해도 되나요?
A3. 오염된 경우 가볍게 손세탁이 가능하나, 변색이나 훼손이 심하면 새 태극기로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Q4. 베란다 난간에 그냥 걸어도 되나요?
A4. 권장되지 않습니다. 반드시 깃봉을 이용해 게양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Q5. 온라인으로 태극기를 구매할 수 있나요?
A5. 가능합니다. 인터넷 쇼핑몰이나 국가보훈부 지정 판매처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