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육아휴직을 쓰고 싶은데, 급여가 얼마나 나올까요?”

    많은 직장인 부모님들이 궁금해하는 질문이죠. 2025년에도 육아휴직 급여는 고용보험에서 최대 1년간 지급되며,

    최근에는 ‘육아휴직 급여 계산기’를 통해 예상 금액을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육아휴직 급여란?

    육아휴직 급여는 만 8세 이하 자녀(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를 양육하기 위해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경우, 고용노동부가 지급하는 소득보전형 지원금 

    입니다.

    근로자는 육아휴직 사용 기간 동안 통상임금의 일정 비율을 월 단위로 지급받습니다.

     

    2025 육아휴직 급여 계산기 사용법

    2. 2025 육아휴직 급여 지급 기준

    기간 지급 비율 월 최대/최소 금액
    1~3개월 통상임금의 80% 최대 150만 원 / 최소 100만 원
    4~12개월 통상임금의 50% 최대 120만 원 / 최소 70만 원

     

     

    20205육아휴직 급여계산기

     

     

     

     

    3. 육아휴직 급여 계산기 사용 방법

    고용보험 공식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육아휴직 급여 계산기’를 통해 예상 수령액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어요.

    • ①  고용보험 홈페이지 접속 → 민원 → 모의계산 메뉴 선택
    • ②  “육아휴직 급여 계산기” 클릭
    • ③  통상임금, 근속기간, 육아휴직 개시일 입력
    • ④  예상 월별 수령액 확인

    ※ 통상임금이란? 기본급 + 고정수당 등 매월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2025육아휴직 급여 계산기 사용법

    4. 실 예시로 살펴보는 급여 계산

    예를 들어 월 통상임금이 250만 원인 경우:

    • 1~3개월: 250만 × 80% = 200만 → 상한선 150만 원 지급
    • 4~12개월: 250만 × 50% = 125만 → 상한선 120만 원 지급

    ➡ 총 예상 수령액 = 150만 × 3개월 + 120만 × 9개월 = 1,710만 원

     

    5. 신청 조건과 절차

    • ✔ 고용보험 가입 180일 이상
    • ✔ 육아휴직 개시일 기준 고용 유지 중
    • ✔ 사업장 동의 → 회사 승인 → 고용센터 신청

    신청은 육아휴직 개시일 이후 1개월 단위로 고용센터 또는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가능해요.

     

     

    6. 자주 묻는 질문 (FAQ)

    Q. 부부 모두 육아휴직 사용하면 어떻게 되나요?

    A. 맞벌이 부부가 연속 또는 동시에 사용 가능하며, 두 번째 사용자에게는 ‘아빠육아휴직 보너스제’가 적용됩니다.

    ※ 보너스제 : 첫 3개월 급여 최대 250만 원 상향 지급

    Q. 자영업자는 신청할 수 없나요?

    A. 육아휴직 급여는 고용보험 가입된 근로자 대상입니다. 자영업자·프리랜서는 별도 육아지원 정책(출산급여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Q. 연차소진 후 육아휴직 시작해도 되나요?

    A. 가능합니다. 연차 사용 후 연속해서 육아휴직 시작 시 불이익 없습니다.

     

    2025육아휴직 급여 계산 방법

     

    육아휴직은 단지 쉬는 시간이 아니라, 아이와 부모 모두의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는 법적 권리입니다.

    2025년에도 지원금 규모가 커진 만큼,급여 계산기를 통해 사전에 시뮬레이션해 보고,

    제대로 준비해서 경제적 손해 없이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2025육아휴직 급여 계산방법

     

    반응형